-
매출액
603억원
-
수행과제
505건
-
특허출원
164건
출처: 2023년(2022년도분) 대학정보공시 자료
산학협력 중장기 발전계획 개요
산학협력 비전 및 목표
메가시티를 지향하는 동남권 지역사회의 삶의 질(質)과 격(格) 향상에 기여하고자 「지역과 함께 지속 발전하는 기업가형 연구·산학협력 BRAND 구축 및 확산」을 산학협력단의 목표로 함
産學비전
동남권 지역사회의 삶의 질(質) & 격(格) 향상에 기여하는 산학협력 선도
大學비전
지역을 품고 세계와 함께하는 명문 사학
목표
지역과 함께 지속 발전하는 기업가형 산학협력
BRAND 구축 및 확산
2030년까지 산학협력 수익 2배 확대 (1,000억)
산학협력 자립화(수익창출형) 선도 모델로 전환
지역 특화 인재 육성을 통한 지역 경쟁력 강화
추진전략 및 특성화 도출
가. 추진전략
DAU E.S.G. 2030
- 최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대학의 산학협력 추진전략 설정과 연계하여 지역과 공유와 협업에 기반을 둔 산학협력 발전전략 수립
-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비재무적 요소인 ESG를 대학의 산학협력 특성과 지속가능의 목표에 재구조화하여 정의함
추진 전략 | 추진 분야 | |
---|---|---|
E | 환경친화적 미래산업 육성 (Environment-friendly Next Industry development) |
특성화 분야 발굴 및 육성 |
취·창업 교육 및 지원 | ||
S |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연구·산학협력 (Sustainable Social Development) |
기술사업화 및 기업지원 |
성과 환류·확산 체계 구축 | ||
G | 연구자 친화형 지원체계 구축 (Researcher-friendly Governance) |
조직 고도화 및 인력 전문성 강화 |
연구지원 제도 및 인프라 구축 |
나. 특성화
환경친화적 미래산업(E) · 건강한 삶(S) · 인문/문화 세계화(G)
- 대학 산학협력 경쟁력 분석(학과 구조분석/학내 경쟁력 분석/산업매력도 분석)을 통해 도출한 특성화 분야를 산학협력 추진전략(E.S.G)과 연계, 재구조화하여 정의
특성화 분야 | 관련 분야 | |
---|---|---|
E | 환경친화적미래산업 | 고부가가치기계/부품·장비, 에너지, 드론, 반도체, 미래에너지 |
S | 건강한 삶 | 스마트헬스 케어, 바이오소재, 신약개발 |
G | 인문/문화세계화 | 물류, 국제교류, 컨텐츠 개발 |
성과 환류 체계
산학협력단 내 각 부서는 자체 자율성과지표 및 운영성과지표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실무 추진위원회 및 성과관리위원회에서 중간 평가와 연차 평가를 통하여 자율성과지표 및 핵심성과지표를 관리함

-
개선 및 환류
- 성과점검 결과 피드백 및 개선방안 이행
- 실행과제 운영계획 수정, 보완 및 성과체계 환류
-
계획 수립
- 실행과제 설계 및 운영계획 수립
- 대학 및 산학협력 발전계획 연계 정책 수립
-
성과 점검
- 실행과제 운영성과 자체 모니터링 및 개선영역 도출
- 성과결과 분석 및 산학협력 역량 진단
-
실행과제 운영
- 실무부서 실행과제 이행 및 운영 지원
-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