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상세 보기 글쓰기

특허 상세 보기

[KO] 실리카겔을 이용한 폐작동유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제장치

[EN] Method for Purifying Waste Working Oil Using Silica Gel and Refining equipment using the same
  • 출원번호 10-2020-0040149 출원일 : 2020.04.02
  • 등록번호 10-2184315-0000 등록일 : 2020.11.24
  • 법적상태
    • 등록
    • 소멸
Contact point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팀 김기연 051 - 200 - 6534 kky1216@dau.ac.kr
출원인
구분 이름 국적 주소
1 국적 : 주소 :
발명자
구분 이름 국적 주소
1 조종현 국적 : 주소 : 경상남도 김해시 번...
2 조영수 국적 :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3 조희태 국적 : 주소 : 부산광역시 강서구...
대리인
구분 이름 국적 주소
1 최규환 국적 : 대한민국 주소 : 대전 서구 한밭대로 *** (둔산동) **층(그린국제특허법률사무소)
요약
본 발명은 실리카겔을 이용한 폐작동유의 정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대 내연기관에 사용한 작동유(윤활유) 혹은 폐유에 가까운 작동유를 재생하여 다시 원래의 기능인 작동유로 사용할 수 있는 작동유의 재생방법 및 그 기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랜 시간 사용된 폐기 작동유 혹은 폐작동유를 일차 보관 탱크에 옮기고 60~70℃에 가열한 후 승압 혹은 감압상태에서 정제할 작동유를 1차적으로 고체 실리카겔(혹은 실리카겔/활성탄)이 충진된 필터를 통과시켜 작동유에 포함된 대부분의 찌꺼기를 제거한 후 2차적으로 감압상태에서 다중 겹의 종이 필터를 통과시켜 고순도의 작동유로 정제하였고, 간결한 정제기술에 의해 정제된 작동유는 한국석유관리원의 작동유(윤활유) 규격 20개 실험 항목을 모두 통과여 합격판정을 받았으며, 작동유에 포함된 찌꺼기의 정제에 사용된 충진제인 실리카겔은 비인화성 유기 용제로 세척한 후 건조 과정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유기 용매는 저온과 가압 하에서 순수한 용매로 응축하여 재 활용하여 사용하였고, 본 발명에 따른 사용된 작동유 혹은 폐작동유의 새로운 정제방법 및 장치를 통하여 얻어진 정제된 작동유는 다시 작동유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폐유로 처리되거나 단순 연료로 사용되었던 폐작동유에 대한 경제적 활용성을 극대화 하였고 에너지의 재생과 환경 오염방지의 시너지효과를 얻었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IPC
C10M 175/00(2006.01.01)
B01D 35/00(2006.01.01)
B01D 39/16(2006.01.01)
B01J 20/10(2006.01.01)
B01J 20/28(2006.01.01)
CPC
C10M 175/0008(2013.01)
C10M 175/0025(2013.01)
B01D 35/005(2013.01)
B01D 39/16(2013.01)
B01J 20/103(2013.01)
B01J 20/28047(2013.01)
  • TEL. 051. 200. 6498
    FAX. 051. 200. 6507
    ADDRESS. 49315 부산광역시 사하구 낙동대로 550번길 37(하단동)
    산학관(S14) 3층 301호 314호 316호
COPYRIGHT ⓒ 2023 동아대학교산학렵력단 ALL RIGHT RESERVED.